공중보건학 개념의 정의
건강(WHO) 1948년 : 단순히 질병이 없고 허약하지 않은 상태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안녕이 완전한 상태라고 말한다. 질병 발생의 3대 요인설에는 병인 숙주 환경 3가지가 있다.
질병의 자연사 5단계 비병원성기는 질병에 걸리지 않은 시기이다. 환경위생/건강증진 시기이다. 초기 병원 성기에는 예방접종 그리고 자가격리가 있다. 불현성 감염기에는 감염이 있고 증상이 없다. 조기진단 그리고 치료(집단 검진)가 있다. 발현 성 감염기에는 감영이 있고, 증상이 있다 진단 그리고 치료가 있다. 회복기에는 회복, 사망, 재활이 있다.
공중보건학의 정의
미국 예일대학 교수인 윈슬로우는 공중보건학의 정의를 다음과 같이 내렸다. 조직화된 지역사회의 노력을 통하여 질병을 예방하기도 하고 수명을 연장시키며 신체적 그리고 정신적 효율을 증진시키는 과학이자 기술이라고 정의했다. WHO의 3대 보건지표는 조사망률, 평균수명, 비례 사망 지수 3가지 지표로 나타낸다. 보건 수준평가의 3대 지표는 다르다. 영아사망률, 비례 사망 지수, 평균 수명이 있다. 영아 사망륭은 국가, 지역사회의 건강 수준을 가장 잘 반영하는 지표이다. a-index는 영아 사망과 신생아 사망의 비교가 가능한 보건 지표다. 공중보건 수준이 낮은 경우에는 여러 가지 사회문제가 예상된다. 3P로는 인구, 오염, 빈곤 그리고 3m으로는 영양실조, 질병, 사망률이 있다.
공중보건학의 발전사
1) 고대기(기원전~500년) 로아 갈레누스, 그리고 그리스 히포크라테스(장기설, 4 체액설)
2) 중세기(500~1500, 암흑기) 탄센 병, 페스트, 매독과 결핵 / 검역제도 실시
3) 여명기(1500~1850) 프랑스 시민혁명, 영국 산업혁명
4) 확립기(1850~1900, 근대기)
5) 발전기(1900년 이후) 영국에서 세계 최초의 보건부 설립이 된다. 그리고 세계 보건기구도 열린다.
1977년 - who 2020 건강목표 설정이다.
1978년 -알미아타 선언에서 일차보건의료 실천이다. 전 인류의 건강권을 바탕으로 하며 모든 인류가 보건의료에 대해 평등해야 하고 건강은 인간의 기본적인 권리이며 국가는 국민의 건강보험을 책임져야 한다.
댓글